제주향교 바로가기

제주향교 홈페이지를 빠르게 이동합니다.

mobile background

탐라선비의 정신이 깃든

제주향교 둘러보기

선비의 정신인 인의예지신을 지켜가는
제주향교의 건물을 소개합니다.

600년의 역사

제주향교 연혁

긴 시간 탐라 선비의 정신을 지켜온 제주향교의 연혁

  • 1392 ~ 1971
    • 1392년(태조원년): 관덕정 일리지(一里地) 향교전(속칭 ‘생깃골’) 건립
    • 1827년(순조 27): 5차 이건 - 이행교(李行敎) 목사 재임 시 제주시 용담동 298 현재 위치로 이건함 [제주 출신 고상신(高相信) 4,639평 기증]
    • 1854년(철종 5): 목인배 목사 재임 시 ‘계성사(啓聖祠)’ 건립
    • 1907년(광무 11): 제주향교에 ‘제주대동보통학교(濟州大東普通學)’를 설립함.
    • 1945년: 제주 3읍 향교의 교사(校舍)와 학전(學田)으로 ‘제주학원(濟州學園)’을 개설하고 문교부장관으로부터 초급중학교 6학급을 인가받음
    • 1965년: 현 제주중학교 운동장에 있던 ‘명륜당(明倫堂)’이 화재로 소실됨
    • 1969년: ‘명륜당’을 현재 위치에 신축함
    • 1971년 8월26일: ‘제주도 유형문화재 제2호 지정’ [제주향교 경내]
  • 1971~2023
    • 1985년 5월12일: ‘공부자성상(孔夫子聖像)’ 및 ‘행단정(杏壇亭)’ 국내 최초 건립
    • 1991년 6월4일: 제주지역 대·소과 방목(枋目)인 ‘용방록(龍榜錄)’과 ‘연방록(蓮榜錄)’이 제주도 유형문화재 10호, 11호 각각 지정
    • 2016년 6월13일: ‘국가중요문화재 보물 1902호 지정’[제주향교 대성전 1동]
    • 2019년 7월7일: 제주향교 주관 장의회장 진인수의 계획 및 찬조로 2,500명 규모의 ‘전국유림지도자대회’를 개최
    • 2023년 7월16일: 제주향교 제33대 진인수 전교 취임 및 충남 온양향교(김시겸 전교)와 문화교류협약를 맺음
    • 2023년 10월15일: ‘대성전’ 39위 위패가 훼손되어 진인수 전교가 만들고, 강청우 반수가 글을 썼으며, 수석장의들과 함께 새로 근수함
    • 2023년 10월28일: 향교에서 처음으로 지역 유림 어르신들 및 도민들을 위한 양로연을 개최함
    • 2023년 12월27일: 제주향교 ‘계성사’ 중건 완공
  • 2024
    • 2024년 1월15일: 향교 총회를 통해 향교전교 선거 제도가 폐지됨
    • 2024년 2월: 향교임원들이 중국 곡부(曲阜) 공묘(孔廟) 등을 방문하여 학문의 결의를 다짐
    • 2024년 5월: 향교 ‘명륜당 수선실’, ‘여성회실’, ‘전사청’과 ‘충효관 현관’ 등 향교 내 부식되고 낡은 부분을 대대적으로 수리함
    • 2024년 6월: 중국 ‘제남(齊南) 공자기금회(孔子基金會)’ 초정 및 한국 공자학당 주관으로 공자기금회와의 협약. 향교임원들과 현장 체험을 하고 함께 운영방안을 논의함 (향교에서는 제주의 상징인 돌하르방 두 쌍을 전달함).
    • 2024년 7월 : 6월 실물과 동일한 ‘공부자상(孔夫子像)’을 공자문화센터에서 기부받음. 충효관 교육실에 배치하면서 박홍영 총재에게 감사패 증정함.

제주향교를 위해
찬조금을 모은 유림들

선비의 정신인 인의예지신을 지키기 위해 찬조금을 모아주신
유림들에게 감사 인사를 올립니다.

 (우)63153 제주특별시 제주시 서문로 43 (용담 1동) 제주향교 |  064-757-0976 |  064-756-0976

© Copyright. 2024 by JEJU HYANGGYO.

제주향교를 위해
찬조금을 모은 유림들

선비의 정신인 인의예지신을 지키기 위해 찬조금을 모아주신
유림들에게 감사 인사를 올립니다.

(우)63153 제주특별시 제주시 서문로 43 (용담 1동) 제주향교 | 064-757-0976 |  064-756-0976 

© Copyright. 2024 by JEJU HYANGGYO. All Page content is property of JEJU HYANGGYO